우리나라가 세계 최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성공했다. 지난 2022년 9월 편입 직전 단계인 '관찰 대상국'에 지정된 이후 네 번째 도전 만에 이룬 성과다. WGBI의 추종자금 중 약 560억 달러(약 75조원)가 국내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8일(현지시간) 채권 국가 분류 반기별 리뷰 결과에서 한국을 2025년 11월부터 WGBI에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리뷰에서 FTSE 러셀은 검토 결과 한국의 '시장 접근성' 수준을 1단계에서 2단계로 재분류했다고 설명했다.
FTSE 러셀은 "한국이 2022년 9월 관찰 대상국에 오른 뒤 2년 동안 채권 시장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FTSE는 △국채 발행 규모(500억 달러 이상) △국가신용등급(S&P 기준 A- 이상 무디스 기준 A3 이상) △시장 접근성 등을 따져 WGBI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WGBI는 미국·일본·영국 등 주요국 국채가 포함돼 '선진국 국채클럽'으로 불린다. 이번 편입으로 우리나라 국채 시장이 선진화의 신호탄을 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이 지수에 따라 투자를 결정하는 자금 규모는 2조5000억 달러(약 337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번 성과는 그간 편입 평가에서 발목을 잡았던 시장 접근성을 개선한 영향이 컸다. FTSE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 접근에 일부 제한이 있다는 이유로 시장 접근성 부문에서 1단계를 부여해 왔다. 이에 정부가 제3자 외환거래 허용, 외환시장 연장 등을 통해 시장 접근성을 개선하면서 WGBI 편입 요건인 2단계로 상향 조정됐다.
FTSE 러셀은 이달 기준 우리나라의 편입 비중이 2.22%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26개 국가 중 9번째다. 그 결과 WGBI 추종자금 가운데 약 560억 달러(약 75조원) 규모의 국채 자금이 국내로 유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500억 달러(약 67조원)~600억 달러(약 80조원)의 국채 자금 유입 시 0.2~0.6% 수준의 금리인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위상 제고 효과도 기대된다. WGBI 편입은 해당 국가 경제의 안정성, 정책과 제도에 대한 신뢰, 금융시장의 효율성 등을 글로벌 시장이 인정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FTSE 러셀의 결정을 환영한다"며 "이번 결정은 글로벌 금융시장이 우리 경제의 견고한 펀더멘털과 역동성 그리고 재정건전성을 높이 평가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해 시장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리스크 요인을 철저히 관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FTSE 러셀은 선진시장’(Developed market)으로 분류된 한국 주식시장의 ‘공매도 금지’를 문제 삼았다. 시장의 우려가 컸던 '관찰대상국' 지정은 피했지만 리뷰에서 "한국 정부의 공매도 금지 기간 연장은 국제 투자자들 사이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며 "주식 차입 시스템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시장 유동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있다"고 경고했다.
© 아주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TSE 러셀은 "한국이 2022년 9월 관찰 대상국에 오른 뒤 2년 동안 채권 시장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FTSE는 △국채 발행 규모(500억 달러 이상) △국가신용등급(S&P 기준 A- 이상 무디스 기준 A3 이상) △시장 접근성 등을 따져 WGBI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WGBI는 미국·일본·영국 등 주요국 국채가 포함돼 '선진국 국채클럽'으로 불린다. 이번 편입으로 우리나라 국채 시장이 선진화의 신호탄을 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이 지수에 따라 투자를 결정하는 자금 규모는 2조5000억 달러(약 337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번 성과는 그간 편입 평가에서 발목을 잡았던 시장 접근성을 개선한 영향이 컸다. FTSE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 접근에 일부 제한이 있다는 이유로 시장 접근성 부문에서 1단계를 부여해 왔다. 이에 정부가 제3자 외환거래 허용, 외환시장 연장 등을 통해 시장 접근성을 개선하면서 WGBI 편입 요건인 2단계로 상향 조정됐다.
FTSE 러셀은 이달 기준 우리나라의 편입 비중이 2.22%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26개 국가 중 9번째다. 그 결과 WGBI 추종자금 가운데 약 560억 달러(약 75조원) 규모의 국채 자금이 국내로 유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500억 달러(약 67조원)~600억 달러(약 80조원)의 국채 자금 유입 시 0.2~0.6% 수준의 금리인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위상 제고 효과도 기대된다. WGBI 편입은 해당 국가 경제의 안정성, 정책과 제도에 대한 신뢰, 금융시장의 효율성 등을 글로벌 시장이 인정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FTSE 러셀의 결정을 환영한다"며 "이번 결정은 글로벌 금융시장이 우리 경제의 견고한 펀더멘털과 역동성 그리고 재정건전성을 높이 평가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해 시장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리스크 요인을 철저히 관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FTSE 러셀은 선진시장’(Developed market)으로 분류된 한국 주식시장의 ‘공매도 금지’를 문제 삼았다. 시장의 우려가 컸던 '관찰대상국' 지정은 피했지만 리뷰에서 "한국 정부의 공매도 금지 기간 연장은 국제 투자자들 사이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며 "주식 차입 시스템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시장 유동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있다"고 경고했다.
© 아주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